약물의 칠정
약물의 칠정
약물의 사용 사 약물을 한 가지 흑은 두 가지 이상을 배합했을 때 나타나는 약물 상호간의 작용기전을 말한다.
1) 단행(單行)
한가지의 약물로도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ex) 독삼탕 : 산후조리
2) 상수(相須)
효능이 유사한 약물을 배합했을 때 협동작용올 일으켜 원래의 효능 및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ex) 석고 + 지모(知母), 사호 + 황금
지모(知母) + 황백, 인삼(人參) + 감초
당귀 + 천궁, 련자육(連子肉) + 산약(山藥)
3) 상사(相更)
약의 성질이 다른 2종의 약물을 배합하여 한 종의 약물이 주(主)가 되는 약물의 효능 및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말한다.
황저(黃諸) + 복령, 애엽 + 향부자(香附子), 전호(前胡) + 반하(半夏)
4) 상오(相惡)
약의 성질을 합용(合用)시 약성간 상호 견제하여 약물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황련(黃連) + 생강, 방풍(防風) + 건강
인삼(人參) + 래복자, 백작약 + 석곡
천궁 + 황련(黃連), 후박 + 택사
5) 상외
약물을 합용(슴用)하여서 한 약물의 독성이나 열성반응이 다른 약물의 억제작용으로 인해 감소되는 것을 말한다.
반하(半夏) + 생강(生藍), 세신(細辛) + 활석(消石), 맥문동 + 고삼
6) 상반(相反)
약물을 합용(合用)후 인체가 강렬한 독성반응이 나타나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지황(地黃) + 래복자, 호황련(胡黃連) + 현삼(玄參), 감초 + 대극(大軟), 감수
7) 상살(相殺)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독성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방풍(防風) + 부자(附子), 백지 + 석웅황(石雄黃), 석위 + 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