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生藥)정의

생약(生藥)의 정의

자연치유카운셀러 2013. 8. 31. 17:07

 

 

 

 

 

 

생약(生藥)

 

 

1. 생약(生藥)의 정의

 

자연계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물질 중에서 사람이나 동물에게 어떤 약효를 가지거 나 약효가 있어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물질올 생약이라 고한다.

 

즉 생약은 의약품의 일종으로 천연으로 산출되는 자연물을 그대로 사용하던지 아니면 가공의 과정(썰거나, 말리거나, 가루로 만들어 사용)을 거쳐서 의약품으로 사용 하거나 의약품의 원료로 삼는 것을 말한다.

 

현대에 이르러서 유기용매 또는 물에 의한 추출이라든가 증류 등익 간단한 조작을 가한 생약도 있다. 예전 부터 생약이라고 하면 초근목피(草根木皮)라고 하는 식물을 바탕으로 하는 생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를 식물성 생약(Vegetable drugs)이라고 한다

 

그러나 동물성 · 광물성 생약도 식물성 생약에 비하면 적지만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다. 사향(騎香) . 섬소(擔解) . 웅담. 꿀(峰) 등은 동물성 생약의 예이고, 망초. 석고. 활석(惜石) . 영사 등은 광물생약의 예 이다. 생약의 원료가 되는 식물 · 동물 및 광물을 각각 약용식물 · 약용동물 및 약용광물이라고 한다.

 

한국의 의약품 공정서(公定홈)인 대한약전(大韓藥典)에는 생약이 152종 기록되어 있으며, 생약에 관한 통칙조항 및 생약의 공정시험법이 규정되어 있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현대적 의약학(醫藥學)이 발전되기 이전에는 의약품으로서 오로지 생약만을 사용하였다.

 

특히 한방에서는 생약을 물로 달여서복용하게 하는 전제가 약물요법의 기본을 이루고 있으며, 그와 같은 약을 탕액(場浪)이라 하고 그 원료가 되는 약재를 건재(乾材)라고 하였다

 

 

2. 생약(生藥)의 역사

 

인간과 약의 역사는 식생활과 더불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자로 써진 최고의 기록으로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슈멜(Sumerians)이 설형문자(模形文字)로 써 놓은 clay tablet 25,000개가 발견되었는데, 약의 처방이 씌어져 있는 최 고의 점토판은 B.C 약 3.000년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점토단에는 약 550여 종 이상의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약과 산제, 액제, 훈증제, 등 다수의 조제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 점토판 외에도 나일강, 인더스강, 혹하의 소위 4대 문명 발상지 하천지역에 독특한 고유의 술이나 의약이 있었다고 한다.

 

중국에서의 전통의약은 오늘날 중의 약으로 계숭이 되고 있고 본초에 관한 기록은 실로 방대하고, 체계화되어 있어 삼품분류에 의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과 본초강목 등이 대표적인 고전으로 전해 내려왔다.

 

우리나라는 자립토산약을 의미하는 향약(鄭藥)이란 어원이 처음 다루어진 향약구급방(鄭藥救急方)을 최초로 하여 향약집성방(集成方) . 동의보감 등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한반도에 보고된 약용자원 식물은 약 900종으로 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진료에 사용된 한약재는 260여 종 이라고 보고 되고 있다.

 

 

3. 생약(生藥)의 종류

 

생약은 크게 식물성 생약과 동물성 생약, 광물성 생약으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식물성 생약

 

▣ 전조류(全草類) 생약

 

식물체의 전체 또는 지상부 부분을 약용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대단히 많고 특히 민간약의 대부분은 전초류(全草類)생약이다. 일반적으로 꽃이 피는 시기의 것을 채집 하여 이용하는데, 드물게는 열매가 달릴 때나 어릴 때의 것도 이용하기도 한다.

 

보통 한방(韓方)에서는 그 자체를 건조하여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이용하나, 인도 의학에서는 신선한 것도 많이 이용한다. 또한 민간요법에서는 날것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고  짠즙을 내복하거나 갈아서 으깨어 외용하는 경우도 많다. 균류의 경우는 자실체 또는 땅속의 균핵올 약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에는 매미동충하초처럼 기생숙주를 포함하여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 잎류생약

 

잎만올 약용하는 것으로, 이용방법은 전초류 생약과 같으나 약쑥처럼 잎에 나는 털을 모아서 이용하는 것도 었다. 시판품(市版品) 중에는 종종 줄기나 가지, 또는 긴 잎자루 둥이 섞인 것이 있어 품질 적으로 떨어진다. 또한 잎을 제외한 잎자루만이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뿌리 및 뿌리줄기류 생약

 

식물체의 땅속에 있는 뿌리의 부분을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뿌리줄기와 줄기의 구별이 명확한 것은 따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것은 지하부 전체가 된다. 한약 중에서도 종류가 많고 종종 가공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 열매 및 종자류 생약

 

일반적으로 성숙한 것이 약용으로 사용되되지만 미숙한 것을 이용하기도 한다. 열매 인 경우 열매껍질만이 쓰일 때도 있다. 또한 대형의 종자는 보통 파쇄 또는 절단한뒤 건조하여 쓰나, 소형의 종자는 그대로 달거나 분말 화하여 약용한다. 드물게 꽃 턱잎이나 꽃받침, 열매자루를 함께 이용하는 외에 꽃받침(감나무)이나 열매꼭지(참외)만이 독립된 생약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 꽃류생약

 

꽃봉오리 또는 피기 시작한 꽃 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안적이며 특수한 것으로는 암술의 암술머리만을 약용하는 것

(사프란 · 욱수수) . 수술만을 이용하는 것(연) . 화분 만을 이용하는 것(부들)이 있다.

 

▣ 껍질류 생약

 

수목이나 뿌의 피충부(형성층의 바깥쪽)를 약용하는 것으로, 보통은 코르크충올 제거하여 이용한다.

 

▣ 줄기류 샘약

 

목질의 줄기 · 멍굴 등을 약용하는 것으로, 보통 피층과 함께 이용하나 물관부, 속 [蘭]만이 단독으로 쓰이는 것도 있다.

 

▣ 수지류 생약

 

식물체를 상처낼 때에 나오는 수액이나 젖액을 약용근 것으로, 송진처럼 자연적 으로 얻는 것과 아편처럼 인공적으로 얻는 것이 있다.

 

▣ 익스트랙트(주줄물)류 생약

 

식물체의 수성추출물을 졸인 것으로, 보통 말려 굳힌 것을 이용하지만 유체(流體) 인 것도 있다.

 

▣ 기타

 

위의 9가지 식물성 생약에 포함되지 않은 특수한 것으로. 식물체에 있는 가시모양 의 것이나 덩굴손, 벌레흑 등을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2. 동물성 생약

 

일반적으로 대형 통물의 경우 동물신체의 일부를, 소형 동물의 경우 신체의 전체를 약용한다. · 대형 동물에는 뿔 · 가죽뼈 · 내장 · 가 · 혀 · 생식기 배설물 외에, 특수한 것으로 척추동물의 태아 · 태반, 병으로 생긴 결석 · 교질 등이 이용된다.

 

또한 곤충의 경우는 성충 · 유충 · 번데기 · 집 · 허물 등을 약용하는 외에 배설물이나 납질(繼質)이 이용되는 것도 있다. 

그 외에 조개껍데기 · 산호 동도 약용된다. 동물성 생약은 종종 쩌서 구운 것을 이용한다.

 

 

3. 광물성 생약

 

 암석류와 물(빗물 · 우물물 등). 동식물이 화석한 것 등이 있다. 분말로 그대로 복용하거나 묶아서 먹는다. 또한 법제(法製)로서 열이나 산올 가하는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