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의 주요작용
■ 약용식물의 주요작용 ■
약용식물의 공효(功效) 즉, 효능 및 효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이를 공용분류법이라고 한다.
공용 분류법을 적용하는 본초의 저서들로는 ‘약품변의' '본초구진’, ‘본초택요강목’ 등이 있다.
현재의 본초학 교재에서는 해표약리, 청열약리, 활혈화어약리, 사하약리, 소식약리, 온리약리, 이기약리, 지혈약리,
이수약리.안선약리. 화담지해 평천약리, 구충약리, 수삽약리, 외용약리, 보허약리, 거풍습약리, 개규약리,
평간식풍 약리 등으로 나누고 있다.
▦ 해표작용 ▦
우리의 신체표면에는 여러 가지의 병인들이 있다. 이때의 표연이란 단순한 질환의 위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병인의 진행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질환을 유발하는 나쁜 기운이 외부로부터 침입하였을 때 초기에는 이들 병사가 신채 내부로 침입하지 않고 아직 표면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이때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총청하여 표증(表證)’이라고 한다.
표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병의 위치가 체표에 존재하기 때운에 체표부위를 풀어 헤쳐서 병의 기운을 내보내야 하므로 ‘해표(解表)’라는 방법올 사용하며, 이러한 작용올 ‘해표약리 작용’ 이라고 한다.
해표(解表)약리 작용이란 신체표면(表)을 풀어주는(解)하는 약성을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표약이라고 하면 감기약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해표약으로 분류되는 약용식물들은 주로 감기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해표약리 작용으로 치료하고 있는 표증이란 이미 언급하였듯이 단순히 병의 위치가 바깥쪽에 존재한다는 의미만은 아니다. 이는 한의학에서 병올 판별하기 위한 증후군의 하나이기 때문에 체질과 증상에 따른 종합적인 관찰을 하여야 한다.
표증은 질병의 원인과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표한증과 표열증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 류한다. 그리고 표증의 원인이 풍(風)으로 인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표한증은 ‘풍한증 (風寒證)’, 표열증은 ‘풍열증(風熱證)’이라고도 한다.
표한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표실증 표열증으로 분류한다. 열은 심한데 땀이 없으며, 오슬오슬 춥고 맥이 위로 뜬 상태이면서 긴장되어 있는 증상틀로 대개 한기가 왕성한 것으로 표실증에 속하는데 상한론에서의 마황탕(麻黃陽)이 이의 대표적인 것이다 .
표허증은 열이 있는데 땀이 나며 오슬오슬 추우며 바람을 싫어하고 맥부(服浮)하나 힘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 이때에는 한의 증상들이 비교적 가볍게 나타나며, 상한론에서의 계지탕(桂校陽)‘이 대표적인 처방이다.
그리고 표열증은 발열(發熱)이 주증상이며, 대개 오슬오슬 떨리거 나 바람을 싫어하는 증상은 없으나, 갈증, 인통(因痛). 성질이 붉으며 맥이 부삭(浮數)한 증상 퉁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대개 열이 뚜렷한 열상(熱象)의 표증이 나타난다.
이때는 상국음. 은교산(銀觀散) 퉁이 효과적이다.
해표약리 작용을 하는 약용식물은 그 성미(性味)와 효능에 따라 발산풍한약(發散 風寒藥)과 발산풍열약(發風熱藥)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발산풍한약은 대부분 성미가 신온(辛溫)하기 때문에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이라고도 하는데, 풍한표증에 주로 사용된다. 발산풍열약은 대부분 성미가 신량하기 때문에 ‘신량해표약(辛解表藥)’이라고도 하며, 풍열표중에 사용된다.
[해표작용을 하는 약용식물]
○● 해표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들은 다음의 작용들과 유관하다고 할 수 있다.
1) 발한작용
해표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들이 일반적으로 모두 발한 시키거나 말한올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발한을 통하여
표사(表때)가 한올 따라서 나가므로 제거된다고 인식하였다.
발한이 한의에서 표증올 치료하는 중요한 치법 중의 하나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발산풍한약들이 발한작용이 비교적
강 하며, 그 중에서 마황(廠黃)과 계지(桂技)를 배합하였을 때에 작용이 매우 뛰어 나다.
마황탕(麻黃揚)과 같은 처방이 전형적인 발한방제의 한 예 이다.
2) 해열작용
해표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들이 대개 강도는 조금씩 다르지만 해열작용올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열에 대하여 체온하강작용올 가진다. 이 중에서 시호(業胡)의 작용이 강하며, 이 외에 계지(桂技), 형개, 방풍(防風), 갈근, 자소엽(緊蘇葉), 부평 등의 약물들도 역시 일정한 해열효과가 있다.
그 작용기전은 직접 발한 때문이거나 발한을 촉진시켜서, 또는 소염, 항균 및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으로 체온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갈근은 정상체온도 하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3) 진통작용
시호(榮胡), 계지(桂技) , 세신(細辛), 방풍(防風) , 자소엽(緊蘇葉) 등은 동통반응에 현저한 억제작용을 나타나 이 약풀들은 모두 일정한 진통작용이 었다.
4)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
시호(架胡) , 계지(桂校), 자소엽, 방풍(防風), 박하, 상엽(聚葉) 등 은 여러 종류의 세균, 예를 들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 용혈련구균(He moly tic stntococcus). 앙한간균(장티푸스균), 이질간균(Dysentery bacillus). 결핵간균(tubercules) 및 치병성진균(pathogenic fungus)에 대하여 일정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마황, 계자, 시회, 자소엽(緊蘇葉), 국화 등은 influenza 바이러스에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