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열(淸熱)작용
▧ 청열(淸熱)작용 ▧
청열약리 작용이란 열(熱)을 청소(淸)하는 작용을 말한다. 이는 해표약리 작용과는 다른 개념으로 해표약리 작용에서는 주로 바깥부위에 존재하는 열을 발산시키는 것이고, 청열약리 작용은 안쪽에 존재하는 이열을 청해(淸解)하는 작용을 말한다.
청열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들은 대부분 성질이 한량(寒)하므로, 한의학이론중 [‘열자한지(熱者寒之)열은 한으로써 다스라]"라는 치료원칙에 따라 이들 약용 식물들을 각종의 열증(熱證)에 주로 응용하는 것이다. 이때의 ‘열증’이라는 것은 상당 히 광범위한 개념으로서, 양학의 개념에서 체온상승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히려 체온상승을 가져오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이때에 진찰을 하면 설홍태황과 맥삭(服數) 등의 진단이 나오는데, 이들이 모두 열중의 범주에 속한다.
예를 들면, 체온이 정상일지라도 환자가 입이 마르고(口乾) 목도 마르며(뼈操), 얼굴색이 붉어지고(面紅) 눈이 빨갛게 충혈되며. 대변이 굳어서 변비가 있고(大便乾結) 소변을 볼 때 시원하지 않고 화 끈거리며(小便短未), 손바닥과 발바닥 및 가슴이 답답하고 열감을 느끼는(五心煩熱) 증상들이 나타난다.
열증이 병이 발생한 부위와 성질, 그리고 병의 상태에 따라서 표열증과 이열증 으로 나눌 수 있다.
표열증은 발열은 있지만 오슬오슬 추위를 느끼는 오한(惡寒)의 증상이 가끔씩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표증이 나타나면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해표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이 효과적이다.
이열중은 외부로부터의 사기가 체내로 침입한 다음 열로 변하여 발생하거나, 체내에서의 기가 울체되어 열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열중에서 주로 발생되는 증상들은 우선 열이 나고(發熱) , 오한보다는 열을 싫어하며(惡、熱), 입이 마르고, 가슴 이 답답하며 입맛이 쓰고. 숨이 차게 되고 심하면 신지섬어(神志訴語), 발광 등이 나타난다.
이열증은 성질에 따라 실열과 허열(虛熱)로 나눌 수 있다. 실열은 다시 기분열(氣分熱), 혈분열(血分熱) . 습열(隱熱) 및 독(熱)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청얼(淸熱)작용하는 약용식물]
♧♣ 청열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의 특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항균작용
청열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의 대다수는 모두 일정 정도의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다. 단지 항균범위와 항균강도가 같지 않다.
예들 들면 은화(銀花), 연교(連觀). 포공영(淸公英), 자화지정, 황연(黃連) , 대산, 금교맥(金蘭奏), 지모(知母), 적작, 어성초(魚醒草) 등은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aneus, Hemal ytic streptococcus, Pneuma bacillus. Corynebacterium diphtheriae등), 그람 음성균 (장티푸스균, 파라티스균. Escherichia coli. Proteus, Dysentery bacillus, Tubercule bacillus 등) 모두에 일정 정도의 억제작용이 있다.
이 외에 황연(黃連) . 황백(黃뼈), 황금, 포공영(倚公英) , 우방(牛勢子) . 국화, 생지(生地) . 자초(緊草) 동은 다종의 피부진균(Trichophyton vilaceum. Achorion schae디ni. Trichophyton ferrugieum동)에 유효하다.
↗ 항바이러스작용
은화(銀花) , 연교(連뺑), 어성초훌), 관중(實聚), 황금(黃혹), 대청엽, 적작. 판남근(板藍根) , 황백(黃植). 단피 등이 A -influenza에 억제작용이 있다. 은화, 사간(射千), 관중(實聚) 등이 고인병독(ECHOll)등에도 억제 작용이 있다. 이 외에 포공영(淸公英). 어성초(魚睡草). 천심연(穿心違). 야국화(野氣花)는 병독이 세포변형을 일으키는 병독을 늦추는 작용이 있다.
↗ 인체의 면역효능에 대한 영향
청열작용윤 가친 약용식물이 인체의 면역효능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황연(黃連) , 황금(黃휴) , 천심연(穿心違) , 야국화(野氣花), 석고 등이 백세포와 망상내피계통의 탄서효능을 증가시킨다.
포공영. 대산. 황연(黃連). 황금 등은 또한 임파세포전화율을 촉진시키고, 황연(黃連), 단피 등이 변태반응에 대하여 일정 억제 작용을 가지고 있다.
↗ 해열 작용
서각, 석고. 지모(知母), 현삼, 적작, 자초(緊草), 지골피 (地骨皮) , 은화(銀花), 대청엽 등이 동물 실험성 발열모형에 대하여 모두 뚜렷한 퇴열 작용이 있다.
↗ 항염 작용
급성염증은 열증의 주요표현으로 급성감염성 질병의 중요 병리 과정이다. 많온 창 열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은 실험성 염증의 각개환절(各個環節)에 모두 일정작용 이 있다.
예를 들면 연교(連觀)는 염증성의 삼출(慘出)을 억제하고 환연(黃連)은 염증의 소실을 빠르게 하고, 황금은 변태반응의 염증 등에 대항하는 능력이 있다. 이처럼 약용식물이 급성과 만성의 감염성 질병에 사용되어 모두 비교적 좋은 효과를 얻었다. 이것은 항염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게 한다.
↗ 기타작용
우황(牛黃) . 치자(治者), 황금(黃金). 단피(月皮) 등이 진정(鎭靜) 또는 항경궐작용(抗驚戰用)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생지(生地) . 우황(牛黃)은 강심작용이 있고, 황금(黃金), 단피(月皮) 등이 강혈압작용이 있고, 은화(銀花)는 지혈작용, 엄두근, 자초, 포공영(痛公英) 등은 항종류작용(抗睡癡作用), 백두옹. 황연(黃連) 등은 항아미파원충(尤阿米巴原蟲)의 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