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허(補虛)작용
▒ 보허(補虛)작용 ▒
인체 기혈음양(氣血陰陽)의 부족을 보익(補益)하여 항병능력을 증강시켜서 허약증 후를 제거시키는 작용을 보허(補虛)작용 또는 보익(補益)작용이라고 한다.
보익이라 는 것은 부정배본하는 것이다. 보익하는 방 이나 약을 사용하여 허증을 치료하는 방법 을 보익법이라고 일컫거나 또한 부정배본법이라고 일컫거나 혹은 부정배본치법이라 고 일컫는다.
허증(虛證)에는 기허(氣虛). 혈허(血虛) , 음허(陰虛). 양허(陽虛)가 있고 보허작용 을 하는 약식물 또한 보기(補氣), 보혈(補血) , 보음(浦陰) , 보양(補陽)하는 네 개의 분류로 나눠진다.
보기(補氣)는 주로 비기(牌氣) 폐기 및 심기(心氣) 동을 보익하여 기허증에 사용된다.
보혈(補血)은 심간혈허(心府血虛)를 보익하여 혈허층에 사용된다.
보음(補陰)은 양음(養陰) , 자액(滋被), 윤조(潤操)하여 폐.간(府), 신. 비(牌) .위의 음허증에 사용된다.
보양(補陽)은 신양을 보조하여 신양 허증에 사용된다.
보허작용은 각종 병인이 일으킨 허증에 적용된다. 다만 기혈음양 부족의 병증에 사용되어 체질을 증강시키고 쇠약증상을 제거하며 인체가 조기에 건강을 회복하도록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병사가 미진하고 정기가 이미 쇠한 병증에 사용되어, 인체의 항병능력을 증강시켜 결국은 질병을 극복하게 된다.
[ 보허(補虛)작용을 근 약용식물 ]
☞ 보허(補虛)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면역기능에 대한 영향
보허작용은 비특이성 면역기능과 특이성 면역기능에 대해 모두 증강시키는 작용이 있고, 이것은 보허작용의 기초 중 하나이다.
1) 비특이성 면역에 대한 영향
당삼(黨參). 백출. 숙지황(熟地黃). 백작약. 구기자. 녹용, 보골지, 천문동. 여정자(女貞子) 등은 말초의 백혈구 작용을 높힌다. 이 외에 인삼 , 황기, 아교(阿隊) 등은 모두 일정한 정도로 백혈 구 작용을 높이고, 영지 또한 뚜렷하게 정상인과 백혈구를 증강시킨다.
인삼, 자오가피. 당삼. 황기, 백출. 당귀(當歸). 음양곽. 구기자 등은 망상내피( reticulo-endothelium)계통의 포식기능(phagocytosis )을 증가시킨다. 당삼. 황기, 백출 및 영지는 거식세포의 포식활동 기능을 모두 증강시키고, 당삼은 아울러 거석세포의 포식율과 포식지수를 높였다. 황기, 다당은 거식세포의 기능에 대해 촉진작용이 있다.
2) 특이성 면역기능에 대한 영향
특이성 면역은 세포면역고체액면역을 포괄하는데 이것은 인체가 생활 과정 중에 항원물질에 접촉된 후에 생성되는 침대성(針對性. 조준하여 겨누는 성질) 면역방위 기능이다.
인삼 황기 오미자 는 건강한 사람의 임파구 전화율을 상승시켰다. 당삼. 백출, 복령은 은설병. 낭종성좌창에 비교적 양호한 치료효과가 있고, 세 포면역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음양곽. 여정자(女貞子). 의이인. 토복령. 하수오(何首烏). 사삼은 비인에 암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해 단기간에 임파구 전화율을 일정하게 상승시키는 작용이 있다.
3) 체액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기능
인삼은 인체의 면역상태를 개선하고, 황기, 다당은 체액면역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당삼. 백출, 복령은 혈청 함량을 상승시키고. 구기자, 여정자 등은 체액면역을 증강시키는 작용이 있다.
(2) 인체의 적응성메 대한 영향
보허작용은 인체의 적응성을 높이고 인 각종 유해자극적인 비특이성 저항능력 을 증강시켜서 문란해진 인체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인삼은 적혈구의 증가를 정상 으로 회복시키고. 적혈구 감소를 상시켜 쌍향조절작용을 한다.
황기는 면역반 응이 낮게 치우쳤을 때에는 상숭시키고 면역반응이 높게 치우쳤을 때에는 반대로 하강시킨다.
생지황(生地黃), 현삼. 맥문통 . 균판은 핵산합성율올 조정하는 작용을 갖추고 있어 핵산합성율이 정상일 때보다 높을 때에는 하강시키고, 핵산합성율이 정상일 때보다 낮을 때에는 상승시킨다.
(3) 내분비계통에 대한 영향
대다수 허증은 병리형태상 내분비선의 변성 혹은 위축이나 뇌하수체전엽, 부산피질, 갑상선, 고환 또는 난소에 불동한 정도의 퇴행성 변화를 나타낸다. 기타 조직세포 에도 위축, 변성이 발생한다. 이는 기관. 조직기능 부전의 물질기반이 된다. 증상이 심한 허증에서는 특수 기능의 주질세포(principal cell)의 변성, 위축이 있고, 섬유결 합조직으로 대체되어 모든 기관능부전이 된다.
인삼은 뇌하수체 분비를 흥분시켜 성선호르몬(gonadotropin)을 촉진하여 성성숙과정(性成熟過程)을 가속시키고, 가시오가피는 부신피질계통에 흥분작용이 있고. 성선(性隊) 기능에 대해 촉진 작용이 있다.
(4) 물질대사에 대한 영향
인삼은 당대사와 지질대사에 모두 조절작용이 었으며,
가시오가피는 혈당을 조절하고. 핵산 및 단백질 합성과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물합성을 촉진한다.
황기는 세포의 생리대사작용을 증강시키고. 혈청과 간단백질의 갱신을 촉진한다.
당귀는 죽상동맥경화의 병리과정에 어느 정도의 보호 작용이 있고. 비타민E 보충해 준다.
하수오(何首烏)는 콜레스테롤을 내리는 작용 및 동맥경화작용에 효과적이다.
또한 부자 (附子) . 쇄양(銷陽) . 음양곽. 토사자(克絲子) 등의 보양작용의 약용식물은 DNA와 RNA의 합성률을 높이고,
맥문동, 생지황, 현삼(玄參). 균판 (騙板) 퉁의 자음(滋陰)작용의 약용식물은 자내의 DNA와 RNA의 합성률을 내려 정상에 이르게 한다.
(5) 심혈관계통에 대한 작용
주요 작용은 심근수축력 증강, 혈관확장과 강압작용이다. 또한 항심근허혈 및 항십 율실상(抗心律失常) 작용이 있다.
인삼. 생맥산(生服散). 삼부탕. 황기, 영지, 작약, 녹용, 보골지(補骨順) 등이 모두 강심작용이 있다.
또, 인삼, 당삼, 황기, 당귀, 작약, 녹용, 음양곽, 보골지등은 관상혈관 또는 외주(外周)혈관 을 확장하고‘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인삼제제는 심근허혈로 유발한 빈발성, 심실성, 조박(早博) 위주의 심실성, 심율실상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또한 심 근허혈성 섬전도 변화를 개선하고 심근허혈 손상올 경감시킨다.
황기는 각종 마취동 물에 대해 모두 혈압을 낮추고 동시에 하지(下股)혈관 저항력도 낮추며, 관상혈관과 뇌혈관. 장혈관의 저항력을 현저히 낮춘다.
당삼은 강압작용이 있고, 심박출 혈량을 높이고 뇌와 하지, 내장혈류량을 증가시키며, 장간막 미세혈관을 확정 시키고 혈류량 을 증가시킨다. 이외에도 인삼, 가시오가피, 당귀, 작약, 구기자(해紀子) . 녹용, 음양 곽 동은 모두 강작용이 있다.
(6) 강장 작용
인삼은 기체(機體)의 지력 및 육체노동 능력을 높이고, 피로 작용을 경감시키며, 사유활통과 육체노동 효율을 높인다.
녹용은 기체(機體)으노동능력을 높이고. 수연과 식욕을 개선하며, 기육 피로를 낮춘다.
대조. 백출. 육총용 폐중을 늘리고 근육력을 증강시킨다.
(7) 조혈계통에 대한 영향
골수조혈기능의 감퇴로 적혈구 혹은 백혈구의 감소와 빈혈이 나타난다. 백혈구 감 소증 풍의 질병은 대개 혈허(血虛) ,
기허(氣虛), 심하면 양허증인데 보혈(補血) , 보기 (補氣). 보양(補陽)을 쓰면 일정 효과가 있다.
현재 인삼, 가시오가피. 당삼. 황기, 당 귀, 아교(阿陽), 녹용 등은 조혈기능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