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자기(삼릉)
연못이나 늪의 얕은 물에 자란다. 높이 80∼150cm이다. 줄기는 삼각형이고 굵은 땅속줄기에서 나온다. 잎은 줄기 아랫부분에 달리는데, 줄기보다 길고 납작하며 나비 5∼11mm로서 잎집은 갈색을 띠기도 한다.
꽃은 7∼10월에 피고 1∼4개의 작은이삭이 달린 가지가 줄기 끝에서 산방상(揀房狀)으로 늘어선다. 작은이삭은 긴 타원형이고 녹색이며 길이 1∼2cm이다. 포는 잎처럼 생기고 2∼4개이며 꽃이삭보다 길다.
화피는 6장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작은이삭의 비늘조각은 넓은 타원 모양이고 겉에 잔털이 나며 끝이 2개로 갈라지는데, 그 사이에 긴 까끄라기가 난다. 열매는 수과로서 10월에 익으며 세모진 긴 타원형이고 잿빛을 띤 갈색이다.
땅속줄기를 벋으면서 지름 3∼4cm 되는 덩이줄기가 생기는데 이것을 먹는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삼릉은 기를 보하여 흐름을 강하게 해주고 어혈을 없애 산후 어혈복통, 월경부조, 월경통, 월경폐색불통, 징가, 적취 등에 사용된다. 음식이 소화 안되는 식적을 제거시키는 작용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자궁외임신에 대한 유효성, 악성종양인 원발성간암에 대한 효과, 위암, 간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유선암, 직장암, 폐암 등의 호전 반응, 뇌혈전, 뇌전색, 뇌일혈로 인한 반신불수에 유효성을 보였고, 관상 동맥 질환의 심교통증 개선작용, 충수돌기 주위에도 효력을 나타냈다는 보고가 있다.
1. 생약명
● 삼릉 - 매자기의 덩이뿌리
2, 주요효능
1) 흡수촉진작용, 흥앙작용.건위직용이 있다.
2) 파헐(破血). 행기(行氣), 소적(消積), 화식(化食), 지통(止痛), 통경(通經), 타태. 통유. 산증(散睡)
3) 주병증 - 헐결(血結), 활휴조(血氣不謂), 적취. 징가. 창앙. 식적복통(食積陽痛) . 심격통(心隔痛), 심복동통,
산후복통, 산후혈혼, 손상어헐. 경패(經閒),기창(氣眼) 기혈응체(氣血짧浦) 등에 효과적이다.
♣ 임산부. 비허(牌虛)한 자는 삼간다
♣ 암세포의 발육 억제. 혈소판 응잡억제 작용, 자궁흥분 작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