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학(生藥學)
▒ 생약학(生藥學) ▒
생약을 연구하는 학문을 생약학(生藥學: pharmacognosy)이라고 하며 현대 약학익 중요한 학과분야중 하나이다. 생약학의 연구 분야는 생약의 기원 · 형상 · 성질 · 성분 · 약리작용 · 응용 및 용량(ffi量) 등이다. 예전 한의학에서는 약학을 본초학(本草 學)이라고 하여 체계적 발전을 이룩하여 왔고, 서양에서도 이에 해당되는 herbalogy (본초학) 또는 materia medica 약물 등의 학문이 있었다.
생약학이 옛날에는 하나의 상품학 으로서 식물의 형태학 또는 해부학 둥에 치중했던 시대도 있었으나 현재는 생약학과 관련되는 관련학문이 광범하여 식물학 · 동물학 · 광물학 · 화학·물리화학 · 공학·생화학 · 농학 · 약리학 · 약물학 등 여러 영역에 걸친 종합 과학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중국에서 시작한 본초학이 과학적 생약학에 의하여 과학적인 근거를 얻여 한약 및 한의학의 과학화에 생약학이 크게 공헌하고 있으며, 현대 의약품 개발에도 생약학이 필수적이다.
▒ 생약의 연구방법 ▒
현재 생약을 연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문헌학적(文職學的) 연구
동서양의 각종 고문헌(古文歡) . 기록 · 본초서 등을 조사하고 고증을 하여 새로운 생약을 찾는 연구방법 이다.
▣ 산물지 및 분류지리학적(分類地理學的)연구
생약 기원의 동식물의 분포 · 주산지 · 재배지 등을 밝히는 연구방법 이다. 이 연구방 법의 예로는 조선의 세종이 이룩한 세종지리지(世宗地誌)는 그와 같은 연구의 선구적인 존재이다.
▣ 재배학적 연구
품종의 개량, 외국 생약의 국내 재배, 우수한 품질의 생약올 재배하는 조건 등올 연구하는 것이다.
▣ 외부 및 내부 형태학적 연구 ‘
생약의 감정에 대로 필요하며 품질 평가, 위조품 적발 등의 기본이 된다.
▣ 함유성분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연구
현재 생약학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연구 분야가 바로 이것이며, 생약학을 천연물 약학 또는 천연물 화학이라 부르는 경향도 생약학의 이와 같은 연구추세를 반영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 확인반응 및 주성분의 정량법 연구
오늘날 이화학적 성분 정량법이 획기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 약리학적 연구
생약의 여러 연구 방법이 있지만 생약학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결국 생약의 약효를 밝혀내어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있다. 이미 아편 디기 탈리스 · 마황(麻黃) . 키나 · 인도샤목(印度뾰木) . 맥각(奏角) . 베르베린 함유 생약 등을 밝혀내어 큰 성과를 거두었지만, 아직도 무궁무진한 보고(寶庫)인 생약의 약효를 밝혀내 인류보건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