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학정의

약용식물학의 정의

자연치유카운셀러 2013. 9. 15. 11:10

 

 

 

 

 

 

 

1. 약용식물(藥用植物)의 정의

 

약용식물(藥用植物)이라 함은 식물 중에서도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이 사람의 인체나 기타 동물의 생체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지나는 것 또는 그런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 사용되는 것. 또는 지금 약재(樂材)로 쓰이고 있거나 건강관리 예방에 곧 이용이 가능한 것 또는 유효성분이 과학적으로 규명된 자원식물(資源植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약용식물학

 

(1) 약용식물학(藥用植物學)의 정의

 

인간의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는 학문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원 식물들을 약학적 방법의 접근을 통해서 연구하 는 학문이며 넓은 의미에서는 응용식물학(應用植物學)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의약자원으로서의 약용 자원 식물은 현대 의약품의 제조사 원료가 되는 식물을 포함하며 또한 식물성 생약의 기원이나 자원이 되는 식물 및 건강식품의 원료가 되는 것을 말하며 더 나아가 인류보건의 증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식물들을 말한다.

 

 

(2) 약용식물학의 대상

 

예전에는 약이라고 하면 약초(藥草). 즉 약용식물(藥用植物)을 가르쳤을 잘로 사람들은 질병을 고치는 수단과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왔던 것이 바로 약용식물이었다.

 

약용식물은 점점 그 효능 및 성분에 대해서 밝혀지고 있으나 아직도 무궁무진한 약용식물들 속에 숨겨있는 비밀은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연구, 개발할 필요가 많은 것 으로 우리는 더욱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1) 생약(生藥)

 

약용식물을 비롯하여 동물 및 광물 등의 천연물질에서 채취한 것으로 사용하는 부위나 기관을 원형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세척. 건조, 절단하거나 필요에 의해 가공 을 하여 정제한 것을 생약(生藥)이라고 하며 한의학계에서는 생약을 한약(漢藥)이라 고 부르고 있다. 

 

2) 민간약(民間葉)

 

현대의학 및 한의학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산간벽지나 농촌등지 에서는 조상으로부 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적인 요법으로서 산이나 들에서 자생하고 있는 야생약용식물 들로 그들의 질병을 치료해왔다.

 

3) 본초(本草)

 

한방에서 사용하는 약초를 일반적으로 본초라고 부르고 있으나 현대약학에서 사용 하고 있는 생약이나 한약과는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차이점 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본초는 한방에서의 해석과 용도가 다르며 한방의 처방에 배합되는 것으로 볼 수가 있어 생약과 약초와는 차이가 었다고 할 수 있다.

 

4) 허브와 스파이스(향신료)

 

허브는 주로 유럽지역에서 가정치료약으로써 사용하던 것이며 주로 요리에서 소량씩 사용되어지고 있다. 스파이스는 요리에 사용하는 것뿐 아니라 대다수가 소화기능 을 높이는 약으로 이용이 된다. 열대아시아산으로 유럽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그 후 국내로 전해진 것이 많이 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