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의 분류
▒ 약용식물의 분류 ▒
1. 약용식물의 명칭
식물분류학은 지구상에 존재하과는 많은 수의 식물을 구분하여 배열해 놓은 학문으로 기반을 만든 사람은 Carolus Linnaeus(l707 -1778)이다. 린네는 신이 창조한 수많이 존재동개체군을 종(種, species)이라 하고 종마다 라틴어 학명(Scientific name)을 붙여 생물분류의 기본단위를 정하였는데 이 방식은 영확한 기준이 없고 또한 린네의 직관적으로 구별이 가능한 개체군을 종이라고 한 것밖에 지나지 않는다.
같은 종 안에서도 1개의 생물체. 즉 개체(individual)의 형질은 각각 전혀 같지 않고 다소의 변이가 나타난다. 더구나 진화와 퇴화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종을 보다 정밀히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죠건을 추가하였다.
첫째, 한 개의 개체꾼으로서 중요한 형질에 대하여 불연속변이로서 타 개체군과 구 별이 되어야 한다.
둘째, 그 구별 가능한 형질이 유전하고 다음 세대에 그대로 계속되어야 한다.
셋째, 일정한 분포 지역을 가져야 한다.
(1) 식물분류학의 기반
기관적인 특정으로시 종을 기재 하는 기재분류학(descriptive taxonomy) 이 중시 되어 분류군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며, 다음과 같은 식물학의 각 분 야에서 밝혀진 사실과 연구방법이 식물분류학효운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1) 형태학(morphology)
주로 외부 형태학(external morphology)을 말하는데 생존과 번식을 위한 기관인 줄기, 뿌리, 잎, 꽃둥을 관찰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 기관학(plant organograpty)이라고도 불리며 여러 기관 중 꽃의 구조를 중요시하였다.(린네의 식물계 24강 분 류)
2) 해부학(anatomy)
주로 내부 형태학(internal morpho logy)이라 부르며 식물의 해부학적인 특색을 관 찰하는 것으로, 속관(官園)의 배열과 형성층의 특색에 따라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 을 나누는 것이나 기공에 있어서 보호세포와 부세포의 배열상태로서 단자엽식물을 2 개의 군으로 다시 나누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 발생학(embryo\ogy)
개체의 발생 시 나타나는 대소야포의 발생, 수정현상, 배 및 종피의 발달 등을 기준으로 관찰하는 것으로서 난세포가 수정하여 세포분열을 거듭하여 배를 형성 하는 양식은 과(科)나 목의 수준어는 일정하므로 유연관계를 다루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4) 화분학(palynology)
꽃가루와 포자에 대하여 막의 형태, 극성, 대칭, 모양 및 크기 등을 연구하는 학문 으로서 주사전자 현미경(Scanning eletron microscope : SEM)의 개발로 급속하게 발달되었다.
5) 세포학(cytology)
염색체수와 형태 및 감수분열을 할 때의 결합상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이러한 내용을 과(料) 또는 속간(屬間)의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응용할 수 있다.
6) 생리학(physiology)
신진대사 체계 및 생화학적 경로 대한 것을 연구학문으로서 분류학의 유연 관계를 밝힐 수 있다.
7) 화학 분류학(chemotaxonomy)
식 물에 대한 화학적 연구 결과를 분류서 활용하는 것으로 Tutner( 1969)가 분자의 크기에 따라 소분자군과 대분으로 나눈 것이나 식물에서 단백질을 추출 하여 혈청반응으로서 유연관계를 규명한 것 등이 이에 속한다.
8) 생물지리학(Biogeography)
대륙 분포의 과거와 현재의 차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분류학에서 웅용할 수 있다.
9) 고생 식물학(Paleobotany)
과거에 살았던 식물을 지사학적(地史學的)인 연구와 병행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서 분류학의 유연관계를 따지는데 응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