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호두미인 되세요.
겨울철 대표 영양식 굴
겨울이 제철인 영양식품의 대표음식은 역시
굴이다. 굴에는 타우린의 함량이 높고 인체 내에서 바로 에너리지로 사용할 수 있는 글리코겐과 비타민, 철분, 인, 칼슘 등 미네랄이 풍부해
여성들의 미용식으로도 좋다.
저장해 둔 무와 배추는 단맛이 많아 좋다. 무, 밤, 표고, 은행과 배를 갈아 넣은 양념장으로 끊인
갈비찜이나, 쇠고기와 각종 채소를 볶아 먹는 고기전골, 두부전골, 낙지전골, 곱창전골 등 전골류도 좋은 음식이다.
겨울철 건강식... 오곡밥 & 부럼
그러나 추운
겨울에는 뭐니 뭐니 해도 따뜻한 음식이 제격이다. 특히 따뜻한 성질을 지닌 음식들을 많이 섭취하면 몸도 부드럽고 따뜻해져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는
효과가 있다. 우리 조상들이 정월대보름에 빼놓지 않고 먹었던 오곡밥(찹쌀, 차조, 붉은 팥, 찰옥수수, 검은콘)과 부럼(잣, 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은 이런 점에서 딱 맞는 겨울철 건강식이다. 영양가가 높고 따뜻한 성질을 가진 음식들의 종류와 바람직한 섭취방법을 알아보자.
영양가가 높고 성질이 따뜻한 음식들...
찹쌀은 열이 많은 식품으로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에도
효과적이다. 밥을 할때 쌀과 함께 적정량의 찹쌀을 섞어 혼식하는 것이 좋다.
콩은 단백질이 40%나 들어 있어 값싸고 질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 예방에도 효과적이며, 콜레스테롤도 없다.
호두는 비타민B군을 비롯하여 단백질, 칼슘이 많이 들어 있어 우유나 달걀의 영양가를 넘어선다. 평소 호두를
아이들 이유식이나 간식으로 활용해서 먹으면 겨울철 건강에 도움이 된다. 고질적인 불면증엔
호두죽이 좋다.
땅콩은 다른 견과류나 콩보다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
대표적인 겨울철 보양식이다. 땅콩에 있는 글루타민과 아스파틱산은 뇌세포 발육을 돕고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아이들에게 특히 좋은 식품이다. 단 손발이 차거나 비만 걱정이 있는 사람, 설사가 잦은 사람은 조금만 먹는
것이 좋다.
잣은 환자들에게 좋은 보양식으로 허약한 사람의 간식이나
아이의 이유식 재료로 좋다. 특히 겨울철 건조한 피부나 마른기침, 습과성 변비 등에 효과가 있다.
마늘은 신경계통을 자극해 혈액순환이 왕성해지므로 몸을 따뜻하게 해
준다. 생마늘을 꿀에 재워 약 6개월정도 저장해 만드는 마늘 꿀 절임을 하루에 1~2쪽씩 계속먹을면 냉증에 효과적이다. 마늘은
강장식품이면서 암을 에방해 주는 효과가 있어 우리 몸에 좋다.
생강은 노폐물을 없애주고 찬 기운으로 막힌 피부 표면을 소통시켜 건강을 유지해 준다. 각종요리에 이용하고 손쉽게는
생강차을 끓여 마신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운동이다. 겨울엔 우리 몯도
저장하려는 기운이 강하기 때문에 먹기만 하고 운동을 게을리 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자료 :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한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