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풍습(柱風‘隱)작용 ▒
기육, 경락(經絡) 근골간(節骨間)의 풍습을 제거하여 동통율 없애는 약성을 거풍습약리 작용이라고 한다.
인체의 표면에 있는 기육과 경락이 풍한습사의 침입을 받은 후에 기혈운행 불창(不陽)으로 인하여 근골, 기육 및 관절 등에 동통(흉痛) , 산통(醒痛), 중착. 마목(麻木) , 관절종대 (關節睡大), 굴신불리(屆身不利) 퉁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통틀어 ‘비증(揮證)’ 이라 한다. 발병의 병인, 부위에 따라 행비(行輝). 착비. 통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거풍습 작용을 하는 약용식물]
☞ 거풍습약리 작용을 가진 약용식물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 항염작용
진구, 오가피(五加皮) , 청풍등(淸風麗), 한방기, 목과 등의 약용식물은 관절염의 종창(睡眼)올 감소시키고 제거속도를 빠르게 한다. 진구. 한방기(漢防己), 청풍등(淸風顧)의 소염작용은 뇌하수체-부신피질계통을 흥분시키므로써 부신피질의 기능을 높인다.
▣ 진통작용
진구, 청풍등(情風藏) ,한방기(漢防己), 독활(獨活) ,오가피 등은 모두 일정한 진통작용이 있는데, 그 중 진구가 가장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