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하(濤下)작용 ▥ 대변을 잘 통하게 하는 약성을 사하약리 작용이라고 한다. 사하약은 비록 대변올 통하게 하여 변비를 치료하는 효능이 주작용이지만 통변(通便)하는 효능 외에도 위 장의 적체를 없애주며, 체내에 있는 실열을 제거하고, 어혈(縣血)을 공축(攻逢)하며, 수음(水歐)을 배제하는 등의 효능을 가진다. 이러한 효능이 있어서 임상 에서는 주로 대변불통(大便不通), 숙식정체(宿食停總) . 어혈정체(縣血停辦) , 실열내결 (寶熱內結) , 한적(寒積)과 수음정축 등의 이실증에 사용되며, 실 열중 중에서 고열불퇴(高熱不退), 섬어발광(證語發狂)하는 경우, 혹은 화열상염, 열사용성, 두통, 목적, 구창(口擔) , 아간총통(牙顧睡痛) 및 화열(火熱)이 치성(熾盛)하여 일어나는 상부출혈 등의 병증에 실열을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