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혈화어작용

활혈화어(活血化振)작용

자연치유카운셀러 2013. 9. 1. 11:39

 

 

 

 

 

 

 

 

활혈화어(活血化振)작용

 

혈맥을 소통시키고 혈어를 제거하는 작용을 활혈화어작용이라고 하는데, 혈어증(血縣證)올 치료하는데 응용된다.

약물식물의 특정은 서로 같지 않은데 단삼, 당귀(當歸), 적작약같은 양혈활혈약(養血活血藥), 천궁, 홍화(紅花). 포황같은 활혈거어약(活血祐縣藥), 유향. 몰약(沒藥). 현호색(玄胡 索)과 같은 ‘거어지통약(祐船止痛藥) , 삼릉(三橫), 아출(我ilL), 도인(挑仁)과 같은 파혈산결약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근래에 혈어에 관한 실험이 여러 분야 학과의 종합적 연구를 통해 진행되었는데 비교적 일치하는 결론이 다음과 같다. 혈어증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병리과정이며 혈액순환장애와 긴밀한 관계가 있으며 아 래와 같은 정후가 나타난다.

 

 

(1) 징후

 

1) 혈액류변학 이상

 

혈어증의 엄상표현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며 병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단 일반적 으로 모두 혈액의 “농, 점, 응(疑), 취(聚)"의 경향이 었다.

 

농(禮)이란 혈액 의 농도 증가를 가리키며 혈구압적의 증가, 혈장단백과 지질 등의 농도증가로 표현되 어진다.

점(結)이란 혈액점조를 뜻하며 혈장에 대한 전체혈구의 점도증가로 표현되어 진다.

응(淚)이란 혈액의 웅고성 증가를 말하는데 혈액응고 속도 증가로 표현된다.

취(聚)란 혈세포의 취집성(聚集性)의 증가를 뜻하며 혈장 내 혈소판의 전기이동 완 만과 각종 인자(ADP 등)에 대한 혈소판의 웅집성증가 등으로 표현된다.

 

위의 여러 가지 변화로 인해 혈어는 혈액운행이 불창하고 혈전 형성과 혈관 전색(怪塞)에 이르기 쉽다.

 

 

2) 말초순환 장애

 

말초순환이란 일반적으로 말초동맥과 밀초 정맥 간의 말초 혈관들의 순환을 말한 다. 일찍이 ‘구병엽락위혈어란 이론이 있는데 혈어는 일반적으로 말초혈류의 완만과 어체(船總), 심한 경우 혈관내 웅혈과 말초혈관 변형, 말초훨관 주위의 혈액 삼출과 출혈, 말초혈관 축소 및 폐색 등과 같은 말초순환장애가 나타남을 알수있다.

 

3) 혈류동력학(血流動力學) 이상

 

혈어는 대부분 혈류동력학 변화가 있는데 어떤 기관 또는 부위의 순환장애, 혈관 협착 또는 폐색, 혈류량 강하 등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관심병의 관상동맥순환장애,혈전폐색성혈관염 혈어의 지채순환장애, 빈혈성중풍혈어의 뇌순환장애 만성간염혈어 환자의 간순환장애 퉁이 있다. 이것은 더 나아가 관심병, 홍반낭창과 같은 심장기장 이상이 나타나며 심장기능 하강과 심박출량감소 동의 이상이 나타난다.

 

 

 

 

 

[ 활혈화어(活血化爾)작용을 하는 약용식물 ]

 

 

 

☞ 활혈화어(活血化病)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2) 혈류동력학(血流動力學)의 개선

 

활혈화어(活血化病)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은 일반적으로 혈관을 확장시키고 기관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객 혈류량의 증가와 혈관 저항력을 저하시킨다. 각 활혈화어작용의 약용식물은 혈관 장 작용 부위가 다른데, 동맥에 활혈화어작용에 있어 천산갑.

 

수질 . 익모초. 아출. 도인(挑仁)의 작용이 돌출되는데 그 익모초를 제외하고는 모두 파혈 산결(破血散結)의 혈관 확장 작용이 강하다. 현호색, 단삼, 천궁 동은 관상 동맥확장 작용이 한층 뚜렷하다.

 

관심병(冠心病) . 심교통(心較痛) , 급성심근경색 동은 모두 전형적인 혈어 증상인데, 대개, ‘진심통 ‘흉비’ ‘궐심통 등으로 표현된다.

 

천궁, 단삼. 모동초. 홍화(紅花) , 익모초(益母草) . 당귀. 적작약. 현호색 등은 모두 관심병을 치료하는데 양호한 효과가 있고, 이미 관상 통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심근에 공급되는 혈류량과 산소량을 개선시키는 작용이 있다.

 

만성간염과 간경화는 모두 혈어 증상이 있는데, 예를 들어 간의 자통(刺痛) . 통처의 고정, 피부색의 흑화, 복내 비괴, 이상 반섬, 간장)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활혈화어작용는 간의 기능을 호전시켜 , 간박동성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류 출시 저항을 감소시킨다. 뇌혈관질병의 혈어는 뇌혈류량이 저하되는데, 활혈화어작용 을 통해 뇌순환을 개선시킨다. 이 외에 혈전 폐색성 맥관염과 만성 조색성  폐병의 혈어도 활혈화어작용을 가진 약용식물이 효과적이다.

 

(3) 항혈전형성(抗血裡形成)

 

혈어증은 항상. 심근경색, 뇌혈선형성, 혈전폐색성맥관염, 망막혈관조 색 등과 같은 혈전 폐색성 질환으로 표현된다.

활혈화어작용의 약용식물은 항혈전작용을 가져 위의 질병에 대해 양호한 치료 효과 가진다.

 

익모초. 적작약. 당귀, 삼릉(三俊) . 아출은 명확한 항혈전형성작용이 있고, 택란(澤蘭) 역시 일정한 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