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규(開藏) 작용 ▒
소성신식(蘇醒神識)하는 작용을 일컬어 개규(開廢)작용이라고 하는데, 사기가 옹성함으로 인하여 섬규를 가리워서 규폐신흔(閒神)한 증상에 활용한다.
규폐증의 주요표현은 신지혼미(神志홉迷). 아관긴폐 악권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동시에 기타 다른 증상들이 출현하는데 열폐(熱、開)와 한폐 (寒閒)로 나눌 수 있다.
열폐(熱閒)는 고열(高熱). 섬어(號語). 맥삭(服願). 추훅(抽橋) 동의 증상을 겸하며 유행성 뇌척수막염이나 b형 뇌염의 고열혼미와 같은 일부 엄중한 전신감염에서 흔히 보이며 또 몇몇 뇌혈관과 전간대발작 , 간혼미, 중서 등에서 보인다.
한폐(寒閒)는 면청, 맥지(服 進), 태백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중풍. 중독 혼미에서 자주 보인다.
[ 개규(開藏) 작용을 하는 약용식물 ]
☞ 개규(開藏)작용을 하는 약용식물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1)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규폐증이란 신지혼미를 주요표현으로 하는데, 개규작용의 약용식물의 응용은 환자를 소생시키는 데 있다. 자료에 표현된 바에 의하면, 중추신계통에 관한 작용은 현대약리작용의 소생약 작용과 같지는 않다. 장뇌(積腦)가 호흡중추를 흥분시 키고 혈관운동중추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명확한 것을 제외하면, 기타의 약물들은 중 추흥분작용을 오히려 인정하기
어렵다.
안궁우황환 . 우황, 석창포 등은 자주활동을 감소시키고, 진정 작용이 있다고 보여진다. 안궁우찬. 석창포는 아울러 경련성양궐 발작을 잠시 동안 늦춘다. 사향은 자주활동을 감소시키고, 간의 효소작용을 유도한다.
우황(牛黃) . 빙편(泳片)은 산소결핍에 견디는 능력을 높이고
석창포는 강온(降溫)작용이 있는 등 모두 중추신경계통의 효능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 한, 간성뇌병(府性腦病)과 고열혼미를 급히 구조하며, 폐성뇌병에 양호한 효과가 있다.
(2) 항염, 항균작용
대디수의 개규작용의 약용식물은 또한 소종지통(消睡止痛)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창양종독에 효능을 보인다. 이 효과는 그 항염’ 항균과 국부자극 작용 과 관련이 있다.
사향의 항염작용은 비교적 확실하다. 염증의 초기에는 혈관 투과성증가를 억제하고 백혈구의 유주를 억제하여 수종을 경감시킨다. 염중의 후기에 는 육아조직의 증식을 억제한다. 사향, 빙편, 소합향, 석창포의 항균작용의 정도는 모두 같지는 않다. 소합향(蘇合香), 빙편(水片), 장뇌(繹腦)는 감각신경말초를 가볍게 자극하여 지통지양(止痛止홉) 작용올 일으킨다.
(3) 항심교통(抗心較痛) 작용
빙편은 산소결핍을 견디는 시간을 연장시키고, 심근경색인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회복시키며, 심박동을 완만하게 한다. 또, 심장박동, 정맥 혈중 산소의 차를 · 감소시키고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감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