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과의 다년생초본으로 강호리라고도 한다. 높이는 2m 안팎 안팎이고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못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둔 에서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엽서는 호생하고 2회 3출겹잎이며 우상으로 째어졌으며 , 엽신은 난상의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엽첨이 뾰족하며 엽연에 결각상(缺刻狀)의 톱니가 있고 뒷면 엽맥(服) 위에 털이 약간 있다 .
엽상의 문기점은 더러 새발 모앙므로 거꾸로 굽어 있다. 소염병의 일부분의것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짧아지고,엽병의 밑부문이 넓어져서 엽초로 된다. 잎 꼭지와 줄기는 가지색을 띈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삭의 작은 꽃이 우산모앙으로 모여 피며 복산형화서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10-30개의 소산경으로 길라져서 많은 꽃이 달린다. 총포는 1-2개로서 피침형이고 소총포는 6개 정도이며 진형이다 꽃잎은 5 01고 5개의 수술이 있다.
과실은 10월에 성숙되며 운과(分果)는 타원형이고 납작하며 넓은 날개가 있다.
1. 생약명 : 강활 - 뿌리
2. 주요성분
쿠마린(Coumarin)은 뿌리 0.26(0.98)%. 전초 0.11'f., 열매 O. \3-0 .44'10 힘유하[늙 만겔리코레아놀. 바싸오란게론. 이소임페라토린, 옥시떼우쩨다닌. 임페라토린, 오스툴, 떼롤라산, 오스레놀. 베르갑텐. 안겔리젠, 움밸리떼론, 만겔리콜 듣의 정유는 뿌리 0.39% 열매 1.13%. 꽃이삭 0.67%. 잎 0.06% 함유
3. 주효효능
1) 발산 작용 -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오한, 열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2) 약리 작용 - 발한해열작용(發i千解熱作用), 진통작용(웹遇作用), 항균작용(抗園作用)
3) 풍한습므로 인한 관절통, 근형련마비, 견갑배통
4) 구안와사, 수족를 못 쓰고 말을 못 하는 증상에 활용
5) 피부궤앙과 초기에 오한이나 발열 및 동통이 있고 땀이 없는 증상에도 효능이 있다.
주사액은 해열과 진통작용이 있으며, 피부진균을 억제한다.
정유 성분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발명하는 심장 근육 결헐 치료와 심장 근을 역 앙성 혈류랑 증기에 효력이 있으므로 실험성 신장 이상 작용에 저항력을 기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