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학적분류

약용식물의 분류

자연치유카운셀러 2013. 9. 15. 13:34

 

 

 

 

 

 

 

 

 

 약용식물의 분류(식물학상)

 

 

(1) 민꽃식물(cryptogamae)

 

꽃이 피지 않고 포자(spore)에 의해서 번식하는 식물을 말하며 꽃의 형태가 없기 때문에 은화식불이라고도 한다. 민꽃식물은 종자식물에 대응하는 식물군으로 세균류. 조류‘ 균류, 선패류 및 양치류가 포함된다. 이중 양치류를 제외하면 모두 관다발이 없는 하등 식물이다.

 

 

1) 녹조식물문(chlorophyta)

 

Engler의 분류방식에서 조류에 포함되며 녹색식물문의 한 아문(맨門)으로 단세포인 것으로부터 다세포의 것이 있고 형태가 다양하다. 세계에 약 1만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약 90%는 민물산이고 나머지 10%는 바닷물산이다. 녹조식물들의 빛깔은 색소체에 엽록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녹색을 띄고 있다,

 

녹조식물에는 클로렐라와 같이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가 높은 식품들 이 있으며 파래와 흘파래. 청각. 민물파래와 같이 식용하는 것들이 있다. 이중 파래와 흘파래. 갈파래 등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대표작 클로렐라에 대해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클로렐라과 Chlorellaceae - 클로렐라( Chlorella vulgaris)

 

습지와 오수에서 생활하는 단세포구형의 담수조류중의 하나로 2-10μ 정도이 고 광합성 능력이 높고. 태양에너지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물이다. 배양조건에 따라서 지방은 20-80%. 단백질은 90%까지 . 그리고 탄수화물은 37%까지 함량을 높일 수 있어서, 이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인 간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개체가 너무작고. 그대로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되며·맛도 없어 식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가 무균 순수 배양으로 소화흡수율을 높인 건강보조식품과 유제품 등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클로렐라를 간접적으로 식품응용하거나 다른 식품에 섞어 넣는 방안도 연구되어. 이를테면 젖산균 따위 미생물의 발육을 촉진시키는 데 이용하거나,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며, 가축의 사료에 섞어 넣어 이용하기도 한다.

 

 

 

2) 갈조식물문(Phaeophyta)

 

Engler의 분류방식에서 조류에 포함져 진핵식물류의 한 분야 이다. 대부분 바다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녹조류보다 깊은 곳에서 생활을 한다. 난히 몸속에 엽록소와 카로틴류, 갈조소 등의 색소를 포함하고 있 어 고등식물과 녹조식물과는 색소류가 다르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빛깔도 다르게 나 타난다. 번식법은 유주자에 의한 무성생식, 배우자에 의해 유성생식 한다.

 

다시마 · 미역 · 붕어마름 퉁은 식용하며, 개다시마 · 감태 · 대황 등은 일긴산과 칼륨 · 요오드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일긴산은 아이스크림과 각종 약품의 안정제로 사용이 된다.

 

●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우리니라 동, 남해안 및 태평영안의 해저에서 자생하고 있다. 길이는'2-6m 정도이다. 다시마의 성분으로는 아미노산인 라미나린(laminaline)은 혈압강하작용에 도움이 되며, 다당류인 알긴산 외에 12종류를 함유하고 있어 정혈 및 강장제로 또 알긴산을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다이어트 및 변비치료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홍조식물문(RHodophyta) 

 

Engler의 분류방식에서 조류에 포함되며 진핵식물류의 한 문(門)으로 홍색식물이 라고도 한다. 대부분 바다에서 나며 일부는 담수에서도 자생한다. 대부분은 갈조보다 깊은 바다에서 생활하며 암벽에 부착해서 자란다. 우리나라에서 나는 해조류의 50% 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해안과 서해안, 남해안, 제주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홍조식물은 생식방법에 따라서 원시홍조강과 진정홍조강의 2강으로 나누고 있다. 홍조식물은 산업상 유용한 것이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김이다. 우뭇가사리와 꼬시래기는 한천의 제조원료이며 식용을 하고 의학세균의 기질로도 사용을 한다.

진두발 · 돌가사리 등에서는 카라기난을 제조하는 카라기난은 식품공업용의 유화제와 안전제로 시용된다.

 

● 우뭇가사리 (Gelidium amansii)

 

우리나라 및 전 세계의 해저 바위에서 자생하며, 홍자색을 띠며 길이는 10-30 Cm이다. 생약으로는 우뭇가사리 및 동속 식물을 추출 동결 건조시킨 것을 한천(寒天,Agar)이라 한다. 약효로는 점활제, 팽창성하제, 연고기제 또는 식용으로도 이용하며 특히 미생물의 고형 배지원료로 사용한다.

 

 

 

4) 진균식물문(Eumycetes)

 

진핵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서 세균보다는 발달되어 있지만, 엽록소나 광합성색소를 가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종속영양을 하는 종속영양제이다. 영양은 부생 또는 기생에 의하며 단세포 혹은 다세포로 되어 있고, 때때로 집합하여 균체를 만들기도 한다.

 

균류는 포자를 방출하여 번식하며 조균류(Phycomycetes), 자냥균류(Ascomycetes), 담자균류(Basidiomycetes) . 불완전균류(Fungi imperfecti) 등 4종으로 나뉜다.

 

① 자낭균류(Ascomycetes)

 

균체는 통상적으로 다세포로서 균사로 되어 있고, 많은 가지가 나누어진다. 세포막 은 키틴(chitin)으로 구성되어 있고 무성(無性)생식하지만 유성적으로 조정기와 생란기(生뼈器)가 있어서 수정하면. 균사의 끝에 다수의 긴 원통형으로 주머니모양의 기관이 형성되고(이것을 자냥이라고 함). 이 중에 통상적으로 8개의 자낭포자가 생긴다.

 

대표적인 것으로 맥각균과의 맥각균, 동충하초, 효모균과의 맥주효모균 등이 있다.

 

② 담자균류(Basidiomycetes)

 

균류 중에서 가장 고퉁한 것으로 격벽이 있는 잘 발달된 균사로 이루어져 있다. 조 정기와 생란기는 없지만, 균사의 말단세포(담자기)의 선단에 보통4개의 소병이 있는 담자포자가 붙어 있다. 대형의 자실체(버섯)를 만드는 것이 많고, 담자기는 소위 버섯우산의 안쪽에 주름이 있는 자실층에 다수 형성된다. 또 식물에 기생하여 병이 되 는 곰팡이 형의 균도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잔나비걸상과의 복령, 저령, 목본령. 뇌환, 구름버섯, 영지버섯, 주 름버섯과의 아가리쿠스. 송이버섯과의 독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송이버섯, 광대배섯과 의 붉은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등이 었다.

 

불완전균류(Duteromycotina)

 

균류중에서 생식기관의 형성이 발견되지 않은 것들을 합쳐서 불완전균류라고 한다. 유성의 생식기관의 형태와 성질이 균분류의 기준인데도. 불훈하게 밖에 분류할 수 없는 균류라고 하는 의미이다. 보통 곰팡이의 대부분은 불완전 균으로서 분류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누룩균과의 누룩꼼팡이, 검은곰팡이, 푸른곰팡이 등이 있다.

 

 

 

5) 선태식물문(Bryophta)

 

Engler의 분류방식에서 선태류에 속하며 선류와 태류를 포함하여 약 2만 3000종 으로 이루어진 식물군으로 ‘이끼식물’이라고도 한다. 선태식물을 대표하는 것은 태류인 우산이끼와 선류인 솔이끼이다.

 

우산이끼는 솔이 끼에 비해 구조가 더 하퉁하여 쁨 줄기 잎이 구별되지 않는 온몸을 엽상체라고 하며 온옴으로 물과 무기양분을 섭취하고 온몸으로 광합성을 하여 양분을 만든다. 솔이끼는 뿌리와 줄기. 잎을 구별할 수 있는 최하등 식물로 각기 분담된 기관으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최초의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6) 양치 식물문(Pteridophyta) 

 

관다발 식물 중에서 꽃과 종자가 없으며 포자를 이용하여 번식을 하는 식물류를 말한다. 현재 양치식물의 크기는 적은 것이 대부분이나 지질시대 등의 고대에서는 매우 큰 것들이 있었음을 화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속새강(Equisetineae)

 

속새강은 국내에 약 7가지 정도의 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쇠뜨기와 속새 등이 있다

 

 석송강(Lycopodiolos)

 

다년생 초본으로 지표를 따라 자라는 양치식물류로서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전 지역이 산림 지역으로 양지바른 깊은 산속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다.

 

고사리강(Filices)

 

실고사리과

다년생 초본의 양치식물로 잎은 우상Cx.狀) 또는 우상(쩌狀)으로 분 열하고, 엽연은 포자냥을 만든다. 실고사리는 우리나라의 남부 및 제주도 산 양에 앵하고 있는 덩굴성의 다년생 초본으로 다른 식놀 감고 오르며 지 상부의 전체가 잎으로 되어 있다.

 

참고사리과

전 세계에서 열대에도 온대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자냥군은 엽연 에 가깝게 생긴다. 우리나라 전역의 산야퉁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뿌리줄기 가 길고 지하로 뻗으며 성장한다.

 

면마과

세계적으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양치강 중에서는 가장 큰 과이다. 우리나라 및 중국의 동북부지방에 자생하는 상록의 다년생 대형의 양치류이며 뿌리줄기는 직립하며 잎은 길이가 1.5m까지 자라며 부채 상을 형성을 한다.

 

 

 

(2) 꽃식물(Phanerogamae)

 

꽃식물, 종자식물이라고도 하며 이는 잎과 줄기, 뿌리의 세부분이 구별이 분명하며 꽃이 생기고 종자를 형성하며 발달된 유관속을 가지고 있다. 세대교번으식은 꽃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유성세대의 식물체(植物體)는 무성세대의 포자체(脫子體)중에 묻혀서 생리적으로 독립성이 없다. 새로운 무성세대의 식물은 종자의 발아와 같이 발 육이 진행되어 또 다시 유성세대의 자웅모세포로 발육하게 한다. 식물계의 300,000 여종 중에 150.000-200.1만 종이 중자식물이며 대부분의 약용식물도 여기에 속하게 된다.

 

 

1) 종자식물문(Spennatophyta)

 

 

 나자식물아문

 

나자식물은 암꽃의 심피가 벌어져서 밑씨가 드러나는 식물로서 곁씨식물이라고도 한다. 나자식물의 대표적인 특정은 며 중복수정을 하지 않고 수정 전에 밑씨가 생긴다는 것과 물관부 에는 헛물관만이 있고 물관이 없다는 것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온대지방에서 많이 자라고 있으며 노간주나무속, 잎갈나무속, 소나무속 등의 식물이 널리 퍼져있다. 관상용인 정원수나 분재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목재는 주로 건축자재, 제지용펄프, 향료, 약품재료 등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는 6과 19속의 50여종이 자라고 있으며 소나무, 향나무, 노간주나무 등의 소나무과와 측백 나무괴 식물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피자식물아문

 

피자식물은 물관부에 물관으며 밑씨는 심피로 이루어지는 씨방 속에서 존재 하며 중복수정을 하는 것으로 속씨식물이라고도 한다. 1년 초 또는 다년초로부터 수 목에 이르는;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초본성식물로 대부분의 약용식물들이다. 잎의 형태는 보통 엽병을 가진 넓은 입이며 그물맥 또는 평행맥이 엽맥이며 탁엽 을 많이 가지고 있다.

 

피자식물은 분류학상 쌍떡잎식불과 외떡잎식물의 두 무리로 나눈다.

 

♣▶ 단자엽식물강(외떡잎식물)

단자엽식 떡잎이 l개인 식물을 말하며 상대적으로 떡잎이 2개인 식물을 쌍자엽식물(쌍떡잎식물)약고 한다. 쌍떡잎식물에 비해서 떡잎의 수 외에 꽃 부분이 3의 수로 되는 것이 많으며, 관다발이 산재하며 형성층이 없기 때문에 2차 생장을 하지는 않는다.

 

대부분 단자엽식물의 잎은 어긋나고 가늘고 길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고 잎 맥은 나란히맥의 형태를 가진 것이 대부분이다. 뿌리는 주근(主根)이 발육초기에 퇴화하고, 측근이 잘 발달하는 것이 쌍자엽식 물과는 다르다. 대표적인 단자엽식물강에 속하는 것은 택사목, 백합목, 벼목, 야자목, 생강목, 난목 등이 었다.

 

♣▶ 쌍자엽식물강(쌍떡잎식물)

피자식물에서 단자엽식물보다진화가 더 잘된 식물이다. 떡잎에 관다발이 개방 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정해진 수가 고리 모양으로 늘어서거나 관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형성층이 존재한다. 배는 2장의 자엽이 있고 보통갚과 엽병 이 있고 잎은 드물게 1정혹은 3장 이상인 것도 있다. 꽃은 4 또는 5수성안 통꽃과 그 3배인 갈래꽃으 나눌 수 있다.

 

갈래꽃군 : 이판화라고도 하며 꽃잎이 유합된 통꽃보다는 원시적인 형래의 꽃을 말한다. 꽃잎이 같은 크기와 모양으로 } 이상 대칭변을 가지고 있으 며 콩과의 대부분과 같이 꽃잎이 이형(異形)으로 대칭변이 l개뿐인 것도 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매화 · 벚꽃 · 뽕나무 퉁이 갈래꽃군에 속한다.

 

통꽃군 : 합판화라고도 하며 밑동만 붙은 것부터 전체가 붙은 것까지 었다. 붙어 있는 정도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나타내며 그 형태가 과나 속(屬)의 특정이 되기도 한다.